단체수건 어디서 맞춤할까?
단체수건 어디서 맞춤할까?
Blog Article
"만약 여자가 시를 쓰는 것 자체가 악이라면, 여성이라는 나의 존재에 도사리고 있는 악이란 무엇입니까? 물론, 저는 저의 비천함과 부끄러움을 압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저의 시가 더럽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17세기 멕시코에서 활동했던 수녀이자 시인 소르 후아나 이네스 데 라 크루스(1648∼1695년)의 시와 산문, 희곡 34편을 묶은 선집 '첫 꿈'(경당)이 국내에 처음으로 번역 출간됐다.
책에서 가장 주목할 작품은 여성의 학문 활동을 비판한 주교에게 보낸 서간문 '필로테아 수녀님에 대한 답신'이다. 역사상 최초의 페미니즘 선언이라고 불릴 정도로 혁신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소르 후아나는 글에서 수십 명의 여성 지식인의 사례를 거론하면서 여성의 지적 능력을 무시하는 남성 중심 사회의 편견에 정면으로 맞선다.
무려 975행에 달하는 장시(長詩) '첫 꿈'도 주목해야 한다. 밤이 찾아와 모든 피조물이 잠든 사이, 인간의 영혼이 육체를 벗어나 절대 진리를 향한 여정을 떠난다는 이 시는 중남미 바로크 문학의 최대 걸작으로 꼽힌다. 철학과 천문학, 신학을 넘나드는 지적 탐구와 환멸의 여정을 탁월하게 형상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학적 어휘와 복잡하고 어려운 문장을 사용해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드는 '구문론적 수사법'이 제대로 구현된 작품이다.
이 외에도 신을 향한 사랑과 진리를 향한 열망을 담은 '10행시' 6편과 르네상스 시대의 짧은 운문 형식인 '에피그램' 4편 등에서도 교회 권위와 사회 질서에 도전하면서도 종교적 신념을 저버리지 않는 소르 후아나의 면모를 찾아볼 수 있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평생 성직자들의 견제와 방해에 시달리던 소르 후아나는 1693년 모든 글쓰기를 중단한다. 이후 1695년 전염병에 걸린 동료 수녀를 간호하다 감염돼 47세의 나이로 선종했다.
사후 한동안 문학사에 잊힌 존재였던 소르 후아나는 19세기 낭만주의가 유행하면서 지적 자유의 상징이자 페미니즘 선구자로서 서서히 재조명됐다. 그의 작품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이어지면서 오늘날 소르 후아나는 라틴계 국가들에서 스페인의 위대한 작가 세르반테스에 필적하는 대문호로 여겨진다.
특히 멕시코에서는 '열 번째 뮤즈', '아메리카의 불사조'라는 별칭으로 불리면서 10페소 지폐의 모델로 기념되고 있다.
이번 기록집은 ‘도시대개조, 한강, 공원, 거리, 랜드마크, 기후위기, 주거’ 등 서울시 도시공간 정책의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총 7개 장으로 구성돼있다. 각 장에는 정책의 철학적 배경, 사업 지도, 구체적 사례 설명을 담았다.
각 장의 내용은 서문 '지금까지의 서울, 지금부터의 서울'을 시작으로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here 대개조 △천혜의 자원 한강 △공원과 광장 △걷는 도시 서울 △서울의 건축적 매혹 △기후위기를 준비하는 서울 △도시의 삶은 집에서 시작해 주거로 완성된다 등 7개 주제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서울이 지향할 미래도시의 방향성과 비전을 제시한다.
'2006~2025 서울, 도시건축 혁신의 기록'은 1일부터 서울책방과 온라인 서점 등에서 판매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이 책은 단순한 성과 정리에 그치지 않고, 서울이 지나온 길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라며 "도시건축 정책에 대한 시민의 이해와 공감을 넓히고, 향후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시 120다산콜재단(이사장 이이재) 직원들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오디오북을 제작해 서울시립노원시각장애인복지관에 기부했다고 1일 밝혔다.
재단 내 창의경영동아리가 서울시립노원시각장애인복지관과 협력해 '어항을 깨고 바다로 간다'라는 책을 직접 낭독하고 녹음해 오디오북을 제작했다.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이 쓴 이 책은 일반 시민이 어떻게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찰하며 변화 필요성을 강조하는 책이다. 어항을 깨고 바다로 간다는 비유는 좁은 틀 안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재단은 소개했다.
120 상담사 10명이 오디오북 제작에 참여했다. 상담사 23명이 지원했고 이 중 10명이 선발됐다.
선발 평가 기준은 발성(20점), 발음(30점), 끊어 읽기(30점), 억양(20점) 등이었다. 합산 70점 이상을 획득한 이들 중 10명이 낭독 봉사자로 선발됐다.
제작 기간은 지난해 11월 25일부터 올해 2월 28일까지였다. 서울시립노원시각장애인복지관이 녹음 장비 등을 지원했다. 이를 통해 낭독 봉사자들은 총 248쪽 약 220여분 분량 오디오북을 완성했다.
녹음된 오디오북은 서울시립노원시각장애인복지관 전문가 품질 평가를 완료해 정식 서비스 개시를 앞두고 있다. 오디오북은 이달부터 ARS와 '행복을 들려주는 도서관' 앱을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이이재 120다산콜재단 이사장은 "재단 직원들의 자발적 재능 기부와 지자체 유관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선한 사회적 영향력을 전파하겠다"며 "소외 계층에 온기를 나누는 약자 동행 기관으로서의 중요한 발자취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